소통공간
의정부소년보호사건변호사 [단독] ‘박정훈 체포영장 2번 청구’ 사실, 기록에서 쏙 뺀 군검찰···법조계 “고의성 의심 살만 해…
- 이길중
- 25-09-27
- 345 회
의정부소년보호사건변호사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항명 혐의로 수사한 국방부 검찰단(군검찰)이 수사기록에 ‘체포영장 청구 기록’를 남기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군검찰이 박 대령 체포를 시도했다 무산됐다는 사실은 이명현 특별검사팀의 수사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특검은 군검찰이 박 대령에 대한 체포영장 청구 사실을 숨기려 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2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은 군검찰 관계자들을 조사하면서 박 대령에게 체포영장을 2차례 청구했다 기각된 사실을 파악했다. 그런데 군검찰이 군사법원과 특검에 제출한 수사기록에는 이런 내용이 없었다. 특검은 군검찰로부터 박 대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했다. 박 대령에 대한 체포영장은 수사기록이 아닌 군검찰 내부 별도 문서에 따로 편철돼 있었다고 한다.
특검은 군검찰이 체포영장 관련 자료만 수사기록에서 빠뜨린 이유를 들여다보고 있다. 군검찰이 체포영장과 구속영장을 연달아 청구한 뒤 모두 기각되자 ‘무리한 수사를 했다’는 비판을 피하려 선택적으로 체포와 관련한 내용만 수사기록에서 제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군검찰 관계자들은 특검 조사에서 ‘고의로 빠뜨린 게 아니다’는 식으로 해명했다고 한다. 군검찰에서는 통상 체포영장 등의 원본 문서를 별도로 관리해왔다는 취지의 해명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도 “관련 내용이 누락된 사실을 알지 못했다”며 당시 군검찰 내 실무진이나 하급자가 실수로 빠뜨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밖에서도 이런 사례는 드물다는 평가가 나온다. 군 판사 출신인 한 변호사는 “수사기록에는 수사 과정에 관한 일체의 기록을 다 포함해야 하는데 체포영장만 빠지는 건 난센스”라며 “고의성에 대한 판단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수사기록을 통해 그간의 수사 과정을 피고인이 알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검찰의 의무”라며 “특정 자료만 수사기록에 넣지 않은 것은 피고인에게 유리한 자료가 넘어가지 않게 하려고 뺀 거라는 의심을 사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군검찰은 박 대령이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기록을 경찰에 이첩하자 항명 혐의로 입건했다. 2023년 8월14일과 28일 두 차례에 걸쳐 박 대령에 체포영장을 청구했고, 같은 달 30일엔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군사법원은 군검찰이 청구한 영장을 세 차례 모두 기각했다. 특검은 대통령실 관계자 등을 조사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박 대령의 항명 수사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이 박 대령을 향한 군검찰의 수사에 개입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이다.
메이저리그(MLB) 역사상 가장 키 큰 타격왕이 나온다. 주인공은 뉴욕 양키스 ‘홈런왕’ 에런 저지(33·사진)다. 저지는 23일 현재 타율 0.326으로 전체 1위에 올라 있다. 2위인 애슬레틱스 제이컵 윌슨(0.315)과 0.011 차이다. 양키스와 애슬레틱스 모두 6경기씩만 남기고 있다.
저지는 MLB 최고 타자로 군림해왔다. 그러나 타율 1위를 해본 적은 없다. ‘트리플 크라운’에 도전했던 2022년에는 간발의 차로 타격왕을 놓쳤다.
그해 저지는 62홈런 131타점에 타율 0.311을 기록했다.
루이스 아라에스(당시 미네소타)가 타율 0.316으로 저지를 제쳤다.
올해 저지가 시즌 마지막까지 타율 1위를 지킨다면 역사상 가장 키가 큰 타격왕으로 이름을 올린다. 지금까지 기록은 196㎝의 프랭크 토머스, 조 마우어, 존 올러루드 등이다. 교타자 치고 큰 타자들이었지만 저지는 그보다 큰 201㎝다.
덩치 큰 슬러거가 고타율까지 기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파워에 집중하면서 콘택트는 어느 정도 포기하는 타자들이 많다. 저지처럼 키가 크면 스트라이크존도 넓어진다. 제임스 로슨 양키스 타격코치는 “저렇게 큰 선수가 높은 타율과 장타력을 동시에 유지하는 것은 정말 드물다. 저지가 얼마나 특별한 존재인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홈런 야구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타율은 ‘구식 지표’로 치부되고 있지만, 정작 홈런왕 저지는 누구보다 타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2016년 데뷔 시즌, 빅리그의 벽을 느낀 저지는 스마트폰 메모장에 84타수 15안타 0.179라는 자신의 그해 성적을 적어놨다. 같은 실패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이었다. 저지는 바로 다음해 타율 0.284에 52홈런 114타점으로 아메리칸리그 신인왕에 올랐다.
저지는 올해 타격왕과 함께 3번째 3할 타율에 도전한다. 저지는 ESPN 인터뷰에서 “앨버트 푸홀스, 미겔 카브레라 같은 위대한 선수들을 많이 봐왔다. 항상 타율 3할 이상을 때린 선수들이다. 파워는 거기에 자연스럽게 따라왔다”면서 “나 역시 항상 타율 3할 이상 치는 것을 목표로 삼아왔다”고 말했다.
2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은 군검찰 관계자들을 조사하면서 박 대령에게 체포영장을 2차례 청구했다 기각된 사실을 파악했다. 그런데 군검찰이 군사법원과 특검에 제출한 수사기록에는 이런 내용이 없었다. 특검은 군검찰로부터 박 대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했다. 박 대령에 대한 체포영장은 수사기록이 아닌 군검찰 내부 별도 문서에 따로 편철돼 있었다고 한다.
특검은 군검찰이 체포영장 관련 자료만 수사기록에서 빠뜨린 이유를 들여다보고 있다. 군검찰이 체포영장과 구속영장을 연달아 청구한 뒤 모두 기각되자 ‘무리한 수사를 했다’는 비판을 피하려 선택적으로 체포와 관련한 내용만 수사기록에서 제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군검찰 관계자들은 특검 조사에서 ‘고의로 빠뜨린 게 아니다’는 식으로 해명했다고 한다. 군검찰에서는 통상 체포영장 등의 원본 문서를 별도로 관리해왔다는 취지의 해명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도 “관련 내용이 누락된 사실을 알지 못했다”며 당시 군검찰 내 실무진이나 하급자가 실수로 빠뜨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밖에서도 이런 사례는 드물다는 평가가 나온다. 군 판사 출신인 한 변호사는 “수사기록에는 수사 과정에 관한 일체의 기록을 다 포함해야 하는데 체포영장만 빠지는 건 난센스”라며 “고의성에 대한 판단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수사기록을 통해 그간의 수사 과정을 피고인이 알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검찰의 의무”라며 “특정 자료만 수사기록에 넣지 않은 것은 피고인에게 유리한 자료가 넘어가지 않게 하려고 뺀 거라는 의심을 사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군검찰은 박 대령이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기록을 경찰에 이첩하자 항명 혐의로 입건했다. 2023년 8월14일과 28일 두 차례에 걸쳐 박 대령에 체포영장을 청구했고, 같은 달 30일엔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군사법원은 군검찰이 청구한 영장을 세 차례 모두 기각했다. 특검은 대통령실 관계자 등을 조사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박 대령의 항명 수사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이 박 대령을 향한 군검찰의 수사에 개입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이다.
메이저리그(MLB) 역사상 가장 키 큰 타격왕이 나온다. 주인공은 뉴욕 양키스 ‘홈런왕’ 에런 저지(33·사진)다. 저지는 23일 현재 타율 0.326으로 전체 1위에 올라 있다. 2위인 애슬레틱스 제이컵 윌슨(0.315)과 0.011 차이다. 양키스와 애슬레틱스 모두 6경기씩만 남기고 있다.
저지는 MLB 최고 타자로 군림해왔다. 그러나 타율 1위를 해본 적은 없다. ‘트리플 크라운’에 도전했던 2022년에는 간발의 차로 타격왕을 놓쳤다.
그해 저지는 62홈런 131타점에 타율 0.311을 기록했다.
루이스 아라에스(당시 미네소타)가 타율 0.316으로 저지를 제쳤다.
올해 저지가 시즌 마지막까지 타율 1위를 지킨다면 역사상 가장 키가 큰 타격왕으로 이름을 올린다. 지금까지 기록은 196㎝의 프랭크 토머스, 조 마우어, 존 올러루드 등이다. 교타자 치고 큰 타자들이었지만 저지는 그보다 큰 201㎝다.
덩치 큰 슬러거가 고타율까지 기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파워에 집중하면서 콘택트는 어느 정도 포기하는 타자들이 많다. 저지처럼 키가 크면 스트라이크존도 넓어진다. 제임스 로슨 양키스 타격코치는 “저렇게 큰 선수가 높은 타율과 장타력을 동시에 유지하는 것은 정말 드물다. 저지가 얼마나 특별한 존재인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홈런 야구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타율은 ‘구식 지표’로 치부되고 있지만, 정작 홈런왕 저지는 누구보다 타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2016년 데뷔 시즌, 빅리그의 벽을 느낀 저지는 스마트폰 메모장에 84타수 15안타 0.179라는 자신의 그해 성적을 적어놨다. 같은 실패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이었다. 저지는 바로 다음해 타율 0.284에 52홈런 114타점으로 아메리칸리그 신인왕에 올랐다.
저지는 올해 타격왕과 함께 3번째 3할 타율에 도전한다. 저지는 ESPN 인터뷰에서 “앨버트 푸홀스, 미겔 카브레라 같은 위대한 선수들을 많이 봐왔다. 항상 타율 3할 이상을 때린 선수들이다. 파워는 거기에 자연스럽게 따라왔다”면서 “나 역시 항상 타율 3할 이상 치는 것을 목표로 삼아왔다”고 말했다.
- 이전글 이동환 고양시장 인류 위기 도시 연대 강서퍼블릭 현대차그룹제주도 2035 제주도 탄소 25.09.27
- 다음글 폰테크 해질녘 택시로 학생 실어날라 화학실습해야 하는···버거운 ‘고교학점제’ 25.09.27